이번에 다루어 볼 '온라인 사기' 피해 유형의 두 번째는 피싱 문자 및 보이스 피싱 사기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법한 익숙한 단어가 바로, '피싱'이죠.
온라인 사기 피해에 해당하는 보이스 피싱과 피싱 문자에 피해를 보진 않았을지언정,
이러한 문자와 전화를 받아보지 못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현재 대한민국에선 우리가 알게 모르게 우리의 개인정보가 굉장히 많이 유출되어 있는 상태라고 합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90년대 생들의 경우엔, 2000년도 당시만 하더라도
개인 정보 유출과 그 피해에 대한 위험성에 대해 인지를 하지 못하던 시기였고,
경각심이 없던 시절이기 때문에 다양한 파일 공유 사이트 등을 회원가입하기 위해서
본인의 개인정보는 물론 가족의 개인정보까지 사용했었던 것으로 유명한데,
이때 유출된 개인정보가 2025년인 현재까지도
암암리에 불법 업체들과 사기꾼들에게 공유 및 판매되며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이러한 내용에 대해서 다루어 볼텐데, 먼저 피싱 문자와 보이스 피싱을 정의해 드릴게요.
* 피싱 문자(Smishing)라는 것은 문자(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써, 전자우편 및 문자 메시지 등을 활용하여 믿을 수 있는 사람 혹은 기관 등을 사칭하며 개인 정보(이름, 주민등록 번호, 휴대폰 번호, 계좌 번호, 집 주소, 나이, 성별, 신용카드 번호 등)를 탈취하려는 목적의 사기 수법입니다.
주로, 암암리에 거래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직접적인 피해자의 이름을 거론하고, 특정 단체
혹은 기관, 회사, 플랫폼을 가장하여 이벤트에 당첨되었다거나,
소멸 예정인 포인트가 있다거나, 배송 중인 택배가 있다거나,
계좌에 이상이 있다는 식으로 은행을 가장하는 등의 수법을 통해
거짓된 안내 메시지와 더불어 특정한 '링크'를 첨부해 두고,
이를 클릭하게 유도하거나 악성 앱을 설치하게끔 유도하여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방법으로 사기를 칩니다.
* 보이스 피싱(Voice phishing)이라는 것은 전화 목소리(Voice)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써,
금융기관, 경찰, 검찰, 군대, 병원 등의 관공서 및 기업, 기관
혹은 가족을 사칭하여, 금전을 탈취하려는 목적의 전화 사기 수법입니다.
주로, 피해자의 개인 정보가 '금융 사기'에 연루되어 있다거나,
'부모님 혹은 자녀 등의 가족을 납치' 했다거나, '환급 예정인 세금'이 있다는 등의 이유로
이를 해결하거나 받기 위한 결제를 유도하는 수법이죠.
모든 온라인 사기는 물론, 당연히 피싱 범죄 사기 행각에도
'대포 통장'과 '대포폰'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 번 사기를 당하게 된다면, 피해금액을 돌려받기란 굉장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며,
사기꾼(피의자)을 특정하여 수사하고, 구속하고, 소송을 제기하는 것 또한
무척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합니다.
특히, 과거와 달리 현재, 요즘에는 AI를 활용한 기술이 발달했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손쉽게 AI를 활용한 글 작성과 이미지 생성,
이미지 합성, 음성 합성과 변조 등이 가능해졌기에,
특히 다양한 사기 수법들이 생겨나고, 고도화되고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음 글에선, 피싱 범죄의 간단한 사례와 온라인 사기에 해당하는 보이스 피싱과 피싱 문자 사기를 당했을 때의 대처 방법과 피해 예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기(온, 오프라인) 유형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금리 대환 작업 대출 사기 사례와 유형 수법 (2) | 2025.05.22 |
---|---|
보이스피싱 신고를 위해 알아둬야 할 사례와 유형 수법까지 한 번에 정리 (4) | 2025.05.21 |
중고거래 사기 신고와 조회 대처가 생명 (4) | 2025.05.19 |
온라인 사기의 피해 유형과 대처방법 (14) | 2025.05.19 |
대구주문제작케이크 기념일선물 팁, 레터링을 추천해요 (0) | 202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