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는 '온라인 사기 피해'의 유형 중에서 '저금리 대출 사기' 혹은 '저금리 대환 대출 사기'에 대해서 알아봤고,
그 정의와 수법에 대해서 다루었다면,
이번에는 이러한 사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해 드릴 예정이며,
다음 글에서는 안타깝게도 저금리 대출 사기를 당했을 때의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우리가 대출을 받는 목적 자체가 갑작스레 많은 돈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엔 높은 확률로 돈이 급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사기꾼(피의자)들은 이러한 피해자들의 촉박한 상황과 조급한 마음을 악용하기에,
특히 많은 돈이 필요한 경우라면 꼭 여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이전 글에서도 이야기했듯이,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대출을 받게 되는 것이지만,
만약 사기를 당해서 여러분의 개인 정보를 사기꾼(피의자)에게 제공했고,
계좌 및 통장 정보에 대해서 제공 및 대여해 준 경우라면,
높은 확률로 피해자의 개인 정보를 통한 의도치 않은 고금리 및 고액의 대출이 발생되고,
대출금은 사기꾼들이 탈취하여 대출금의 상환은 고스란히 피해자들이 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하며,

피해자들이 제공한 통장 및 계좌는 사기꾼(피의자)들이 다른 피해자를 만들기 위한
대포 통장으로 사용할 확률이 높기에, 제2 또는 제3의 피해자가 발생되어,
피해자가 역으로 피의자가 되는 상황이 빈번하기에 꼭 주의해야 합니다.

온라인 사기 피해의 유형 중에서 저금리 대출 사기 예방법은
1. 정상적인 금융 기관을 이용하는 것
ex) 금융위원회 홈페이지 (https://www.fsc.go.kr/pa070103)를 확인한다면,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및 특수은행으로 정상적으로 등록된 금융 기관을 직접 확인할 수 있으며,
대출이 필요한 경우라면 되도록 정상적인 금융 기관으로 등록된 곳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이러한 정상 금융 기관들의 경우엔 절대로 선입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2. 문자, DM, 카카오톡 오픈 채팅, 네이버 라인, 페이스북 메시지, 텔레그램 등의
메신저로 대출 진행을 위한 대화를 하는 것은
높은 확률로 대출 사기를 시도하기 위함이니 절대로 응해선 안되며,
이러한 메신저를 통해 발송되는 '광고성 대출 안내'는 의심하고,
링크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절대로 클릭해선 안됩니다.
3. 이용하고 자하는 대출 업체가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 정보포털'의 '파인(fine.fss.or.kr)'에 등록된
정상적인 대부 업체인지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이용하고자하는 금융 기관 앱 혹은 사이트는 꼭 공식 스토어 및 사이트를 이용해야 하며,
2항과 마찬가지로 다른 플랫폼이나 메신저로 유도한다면 의심하고,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사기(온, 오프라인) 예방법 및 대처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라인 사기 피해, SNS 알바 및 부업 사기 예방법 (2) | 2025.05.25 |
---|---|
온라인 사기 피해, 저금리 대출 사기 당했을 때 신고 문서 작성 방법 (0) | 2025.05.23 |
온라인 사기 피해, 저금리 대출 사기 사례 발생 시의 대처 방법 (2) | 2025.05.23 |
온라인 사기 신고, 피싱 문자 및 보이스 피싱 예방법과 사기 당했을 때 대처방법 (6) | 2025.05.21 |
중고거래 사기 신고 및 조회, 대처 방법과 보상 알아두기 (0) | 2025.05.20 |